학생중심의 민주주의대학 상지대학교
문화콘텐츠 산업의 분야를 업무에 따라 구분한다면 크게 기획과 개발, 그리고 시장으로 나눌 수 있습니다.
이러한 문화콘텐츠산업의 업무 흐름에 따라 문화콘텐츠산업 분야에서 요구하는 인재를 크게 기획인력, 개발인력, 기술인력, 비즈니스인력으로 구분할 수 있습니다.
또한 개발을 다시 창작과 설계, 그리고 제작으로 구분할 수 있는데, 본 문화콘텐츠학과에서 배출하는 인력은 이 업무 흐름에서 기획 분야와 개발 단계에서의 창작 및 설계의 업무에서 일할 수 있는 인재입니다. 다음 표에서의 별표로 표시된 부분(개발 중 제작과정, 시장, 사용자와 소비자)이 그에 해당합니다.
사업에 관한 전체적인 컨셉을 정의하고 계획하는 비즈니스 관점에서의 사업(비즈니스) 기획자, 콘텐츠 상품과 개발에 관한 기획, 총괄 업무를 하는 문화콘텐츠(상품) 기획자로 나눌 수 있습니다.
이 기획 영역에 종사하는 사람은 OSMU(One source Multi Use)의 산업적 특성에 대한 이해 및 매체 및 장르별 특성에 대한 이해, 사업적 마인드 등의 능력이 필수적으로 요구됩니다. 이러한 기획인력을 본 문화콘텐츠학과에서 배출합니다.
제작 기획 업무 담당자, 작품기획자, 창작 및 시나리오 개발을 담당하는 내용개발자, 산출물의 설계를 담당하는 설계자, 개발결과물의 평가를 담당하는 평가자 등이 이에 해당합니다. 이 개발 단계에서의 창작과 설계, 그리고 평가를 담당하는 인력을 본 문화콘텐츠학과에서 배출합니다.
컴퓨터그래픽스운용기능사, 정보기기운용기능사, 정보처리기능사, 웹디자인기능사, MOS
문화콘텐츠를 전공한 졸업생들은 공공과 민간부문에서 모두 활동이 가능합니다.
구분 | 공공 | 민간 |
---|---|---|
기획 |
(예시) 광역ㆍ기초지자체문화재단, 지역문화원, 지역문화진흥원, 한국문화예술위원회, 한국콘텐츠진흥원,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, 국ㆍ공립 문화예술기관및 단체 |
|
개발 |
(예시) 한국콘텐츠진흥원, 한국문화관광연구원, 광역지자체 창조경제혁신센터, 한국관광공사 등 |
|
기타 |
|